레이블이 모바일앱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모바일앱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7년 5월 2일 화요일

세계에서 가장 최악의 모바일 앱 (World’s Greediest Mobile Apps)

백신 앱을 개발하는 어베스트 (Avest)에서 몇가지 재미있는 통계를 보여줍니다.

2016년 상반기와 비교하여 실행후 리소스를 많이 잡아먹는 앱 목록이 많이 바뀌었는데, "WhatsApp", "Kik", "Messenger", "WeChat"은 목록에서 사라졌습니다. 대신 "WhatsCall" 및 "musical.ly", "Facebook", "Google Maps", "Instagram"은 계속 높은 순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사용자에 의해 실행되는 성능 최악의 앱인 "Snapchat" 및 "Spotify"는 여전히 상위권에 위치해 있습니다. 그러나, "Wattpad"는 이제 3위의 위치에 있습니다. 그리고 신규로 "Tinder" 및 "Google Sheets"가 각각 6위 및 8위를 차지했습니다. 간단한 스프레드 시트 앱인 "Google Sheets" 앱이 8위 위치에 있다는건 조금 놀랍습니다.


실행후 배터리 소모를 많이 하는 앱 목록은 거의 변동이 없다가 최근에 변동이 생겼습니다. "Samsung Link" "Beaming Service for Samsung" 앱은 휴대 전화를 사용하여 원격 디스플레이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아이러니하게도 LIONMOBI사의 "Power Battery - Battery Saver" "Power Battery - Optimize Cleaner"가 각각 8위 및 10위를 차지 했습니다. 그리고 네이베이션 모드에서 단순히 "Google Maps"을 론치하는 "Navigation Shortcut" 앱이 5위를 차지했는데, 휴대 전화를 GPS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현상입니다.


사용자에 의해 실행되는 앱중 배터리를 많이 소모하는 앱중 "Microsoft Outlook" 10위에 위치해 있습니다. PC용 어플리케이션을 모바일용으로 변경해서 가볍게 만들었지만 여전히 배터리 소모가 많은 편입니다. 그리고 "Samsung WatchON", "Telstra", "Snapchat", "Tinder" 등의 앱들이 배터리 소모가 많은 최악의 앱 순위가 높습니다.

다운로드 상위 30개 앱의 접근권한 요구 현황

녹색소비자연대 전국협의회 ICT소비자정책연구원이 스마트폰 앱들중 다운로드 상위 30위에 해당하는 인기 앱을 대상으로 접근권한 요구 현황을 조사/분석한 결과 평균 18.5개에 달하는 접근권한을 요구하고 있다고 합니다.


스마트폰 앱의 접근 권한은 앱 설치/구동에 있어 필요한 기능 사용의 범위를 말하는데, 통화기록/연락처 정보, 카메라/오디오 기능, 사진/동영상 정보, 위치 정보 등 모든 기능과 정보에 앱이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게끔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특정 앱은 그 앱의 사용용도를 벗어나 과도한 접근권한을 요구하고 있어 사생활 침해는 물론 범죄에 악용할 수 있어 사용자들은 앱을 다운로드하여 설치시에 주의가 요망됩니다.

실제로 '손전등' 앱이 사용자의 위치, 카메라, 마이크, 휴대전화 상태 및 ID읽기, 네트워크 액세스 등 과도한 권한을 요구할 뿐 아니라 실제로 그러한 권한을 악용해 개인정보를 빼돌리는 것으로 드러나 논란을 일으킨 바 있습니다.

가장 많은 권한을 요구한 앱은 '360 시큐리티(security)' 앱으로 무려 42개 권한을 요구하고 있는데, 백신기능을 하는 보안 앱이지만 위치 정보, 카메라/오디오 사용, 주소록 읽기/수정, 문자메시지(SMS) 읽기/전송 등 거의 모든 종류의 접근 권한을 요구하고 있어 비슷한 기능을 하는 안랩의 'V3 모바일 플러스(Mobile Plus)' 앱과 비교할때 무려 32개의 추가 권한을 요구하고 있는 등 개인정보 유출 위험이 가장 심각하다고 합니다.

2017년 1월 14일 토요일

2016년 가장 많은 매출을 올린 모바일 앱 3개

시장조사업체에 따르면 2016년 가장 매출을 많이 올린 모바일 앱은 아래와 같다고 합니다.


앱스토어에서는 Spotify 1위를 차지했고, Netflix Line이 각각 2, 3위를 차지했습니다.

구글 플레이에서는 Line 1위를 차지했으며, Tinder Pandora가 각각 2, 3위를 차지했다고 합니다.

이 조사결과는 전세계를 대상으로 조사된 것이라 아무래도 한국내에서 많이 사용되는 모바일 앱과는 다소 차이가 많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