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Technology Trend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Technology Trend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7년 11월 13일 월요일

2018년 ICT 10대 이슈 (IITP 전문가 조사 결과)

인공지능(AI) 2018년 국내외 ICT 산업에서 중요하게 대두될 이슈 1위로 뽑혔다는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의 조사 결과입니다.

 
 
상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조바랍니다.

2017년 8월 29일 화요일

생체에 이식될 RFID 사용법 및 주의점

생체 (동물 또는 인간과 같은) 내부에 이식되도록 의도된 RFID 장치에는 특별한 요구 사항이 있습니다. 이식될 RFID 장치는 살아있는 조직을 자극하거나 반응하지 않는 특별한 종류의 케이스에 넣어야 합니다. 케이싱은 또한 칩을 활성화시키는 스캐닝 무선 주파수 빔에 대해 투명해야합니다. 일부 RFID 공급 업체는 이러한 응용 분야에서 사용하기 위해 생체 적합성 유리를 만들었습니다.

살아있는 유기체 내에 배치되는 것과 관련된 잠재적인 문제점중 하나는 작은 RFID 장치가 피부 아래를 이동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주변 조직이 케이싱까지 자라서 실제로 결합하도록하는 특수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피할 수 있습니다.

식별 번호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칩을 활성화시키는 고주파는 수 피트 (또는 그 이하) 이내에서만 유용하기 때문에, RFID 칩은 전형적으로 피부 표면에 매우 가깝게 삽입됩니다.

이식용 RFID 장치의 배치는 일반적으로 hyperdermic 타입 바늘로 이루어집니다. 이 삽입 방법은 또한 장치의 모양과 크기를 결정합니다. 임플란트식 RFID 장치는 전형적으로 쌀알정도의 크기 및 직경을 가집니다. 애완견을 위한 이식용 RFID 장치는 일반적으로 견갑골 사이에 이식됩니다.


RFID 태그는 소의 내부에도 이식될 수도 있습니다. RFID 장치가 설치된 모든 젖소들에 대한 논의는 광우병에 대한 두려움에 기인한 것입니다. 애완견 주인은 문신보다는 애완 동물을 식별하기 위해 RFID 태그를 사용했습니다 (보다 전통적인 방법).

VeriChip 태그와 같은 RFID 태그도 인간 내부에 삽입할 수 있습니다.

2017년 8월 27일 일요일

CDR (Content Disarm & Reconstruction)의 개요

CDR (Content Disarm & Reconstruction)은 악성 코드를 파일에서 제거하는 컴퓨터 보안 기술입니다. 맬웨어 분석과 달리 CDR 기술은 맬웨어의 기능을 확인하거나 탐지하지는 않지만 시스템 정의 및 정책 내에서 승인되지 않은 모든 파일 구성 요소를 제거합니다.

사이버 보안 위협이 기업 네트워크 경계선에 들어가지 않도록 방지하는데 사용됩니다. CDR로 보호할 수있는 채널에는 전자 메일 및 웹사이트 트래픽이 포함됩니다. 고급 솔루션은 컴퓨터 종단점 또는 클라우드 전자 메일 및 파일 공유 서비스에서도 유사한 보호 기능을 제공합니다.


CDR은 엔터프라이즈 네트워크의 모든 들어오는 파일을 처리하고 해독하며 파일 유형의 표준이나 설정 정책과 일치하지 않는 요소를 제거하여 작동합니다. 그런 다음 CDR 기술은 최종 사용자에게 의도한대로 보낼 수있는 클린 버전으로 파일을 재구성합니다.

CDR은 잠재적으로 모든 잠재적인 악성 코드를 제거하므로 보호를 유지하기 위해 다른 보안 기술을 패치해야 하는 알려지지 않은 위협에 의존하는 제로데이 취약점에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CDR은 다양한 출처에서 사이버 위협을 막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Email
Web Browsers
Endpoints
File Servers
FTP
Cloud email or webmail programs
SMB/CIFS

2017년 8월 26일 토요일

차세대 WiFi 표준인 802.11ax 개요

무선 표준은 제안, 초안 작성 및 결국에는 최종 1.0 표준으로 정해지는 절차를 밟습니다. 최초의 802.11b 무선 라우터와 노트북을 보기 시작한지 약 17년이 되었습니다. 중간에 802.11g, 802.11n 802.11ac과 같은 3가지 주류 표준만 남았습니다.

이제 Wi-Fi Alliance에 의해 기인증된 802.11ac을 통해 802.11ax의 후속 제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802.11ac을 통해 스마트 폰에 400Mbps 이상 도달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지만 802.11ax 2Gbps 이상의 실제 속도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또한 802.11ax와 유사한 기술에 대한 실험실 기반 시험에서 Huawei는 최대 속도 10.53Gbps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기록했습니다. 분명히 802.11ax는 이전 기술에 비해 빠릅니다.


802.11ax Wi-Fi는 무엇인가?

802.11ax를 생각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최대 4개의 서로 다른 공간 스트림 (MIMO)을 허용하는 802.11ac으로 시작한 다음 각 스트림의 스펙트럼 효율 (따라서 최대 처리량)을 대폭 증가시키는 것입니다. 이전 모델과 마찬가지로 802.11ax 5GHz 대역에서 작동하며 넓은 (80MHz 160MHz) 채널을 위한 더 많은 공간이 있습니다.

802.11ax를 사용하면 4개의 MIMO (다중 입력 - 다중 출력) 공간 스트림을 얻을 수 있으며 각 스트림은 OFDA (직교 주파수 분할 액세스)로 다중화됩니다. Wi-Fi Alliance Huawei (802.11ax 워킹 그룹을 이끄는) OFDA 또는 OFDMA를 의미하는지에 관해서는 혼란이 있습니다. OFDMA (다중 액세스)는 잘 알려진 기술입니다. 어느 쪽이든, OFDM, OFDA OFDMA는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방법을 의미합니다. 각 채널은 수십 또는 수백 개의 작은 서브 채널로 나뉘며 각 서브 채널은 약간 다른 주파수를 사용합니다. 이 신호를 직각 (Orthogonal)으로 통과시키면 서로 가깝게 쌓을 수 있고 쉽게 역다중화 할 수 있습니다.

Huawei에 따르면 OFDA의 사용은 스펙트럼 효율을 10배 증가시켰는데 근본적으로 최대 이론적인 대역폭의 10배에 해당하지만 실제로는 4배가 더 많은 가능성이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802.11ax의 전송속도

보다 보수적으로 4배의 효율성 개선과 160MHz의 거대한 채널을 가정해 보면, 이 경우 단일 802.11ax 스트림의 최대 속도는 약 3.5Gbps가 됩니다 (단일 802.11ac 스트림의 경우 866Mbps와 비교). 이를 4x4 MIMO 네트워크에 곱하면 14Gbps의 총 용량을 얻을 수 있습니다. 2개 또는 3개의 스트림을 지원하는 스마트폰 또는 랩톱을 사용하면 초당 1GB 이상의 빠른 연결 속도를 얻을 수 있습니다.

80MHz 채널을 사용하는 보다 현실적인 설정에서 대략 1.6Gbps의 단일 스트림 속도를 가지는데, 이는 여전히 합리적인 200MB/초의 속도입니다. 모바일 장치가 MIMO를 지원하면 400 또는 600MB/초가 표시될 수 있습니다. 또한 혼잡한 아파트같은 곳에서 얻을 수 있는 것과 같은 40MHz 채널을 사용하는 보다 현실적인 설정에서 단일 802.11ax 스트림은 800Mbps (100MB/)의 총 네트워크 용량 또는 3.2Gbps의 네트워크 용량을 제공합니다.

802.11ax 범위, 신뢰성 및 기타 요소

지금까지 Wi-Fi Alliance Huawei 어느 쪽도 802.11ax의 다른 중요한 기능에 관해 많은 것을 말하지 않았습니다. Huawei "지능형 스펙트럼 할당" "간섭 조정"이 채택될 것이지만, 대부분의 현대적인 Wi-Fi 하드웨어는 이미 그렇게 하고 있습니다.

작업 범위가 동일하게 유지되거나 약간 증가한다고 가정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OFDA의 포함과 기언급한 스펙트럼 할당 및 간섭 조정 기능을 통해 신뢰성이 약간 향상된다고 봅니다. 결과적으로 혼잡이 감소될 수 있으며 데이터가 장치간에 더 빨리 전송되므로 다른 연결을 위해 전파할당을 해제하는 기능이 포함됩니다. 그렇지 않으면 802.11ax 802.11ac과 거의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초고속도의 필요성

문제는 Wi-Fi와 마찬가지로 네트워크 자체의 속도는 아닙니다. 혼잡이며 심지어 그 이상으로도 장치 자체에서 가능한 것입니다. 예를 들어, 802.11ax의 가장 느린 속도인 100MB/초도 하드 드라이브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스마트폰에서 eMMC NAND 플래시 스토리지가 처리할 수있는 것보다 빠릅니다. 가장 좋은 시나리오인 현대 스마트 폰의 저장 용량은 약 90MB/초 순차 읽기, 20MB/초 순차 쓰기 - 최악의 경우, 많은 파일이 있는 경우 초당 1메가 바이트의 속도로 볼 수 있습니다 . 분명히 더 넓은 80MHz 160MHz 채널의 경우 802.11ax의 최대 속도를 활용하기 위해 일부 데스크탑 SSD가 필요할 것입니다.

모든 케이스가 느린 저장 매체에 데이터를 읽거나 쓸 것을 요구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그렇더라도 스트리밍 4K 비디오와 같은 대체 용도는 여전히 이러한 멀티 기가 비트 속도에 미치지 못합니다. Netflix가 향후 몇년 안에 8K 스트리밍을 시작하더라도 (그리고 4K로 시청할만큼 충분하지 않다고 생각한 경우) 802.11ax는 충분한 대역폭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병목 현상은 Wi-Fi가 아닙니다. 그것은 인터넷 연결입니다. 802.11ax 표준 인증 시기은 2018년이후 입니다.

초고속 WiFi 네트워크 기술인 802.11ay 개요

IEEE 802.11ad (WiGig) 표준을 기반으로 한 제품은 실제로 지난 해에 출시되기 시작했지만 더 빠르고 더 긴 범위의 W-Fi 네트워크를 제공하겠다는 약속을 한 향상된 802.11ay를 제공하려는 노력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802.11ad 802.11ay의 차이점

802.11ad 표준은 2012년에 발표되었으며 이 기술을 통해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VR 헤드셋 연결, 컴퓨터간 모니터링 무선 링크 및 30 피트 또는 40 피트의 방해받지 않는 공간을 요구하지 않는 기타 응용 프로그램을 위해 허가되지 않은 (Unlicensed) 상대적으로 제한되지 않은 (Unclogged) 60GHz 밀리미터파 스펙트럼 대역에 장치가 액세스할 수 있게 해줍니다.

Intel, Peraso Qualcomm과 같은 칩 제조업체뿐만 아니라 Dell, TP-Link Netgear와 같은 라우터, 액세스 포인트 또는 기타 장치 공급 업체에서도 채택되었습니다. Wi-Fi Alliance는 공급 업체를 위한 WiGig 인증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시장에 출시된 802.11ay 장비는 802.11n 11ac보다 빠른 4.6Gbps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가장 일반적으로 지원하지만 범위가 제한적이며 견고한 물체를 통과할 수 없습니다.

802.11ad에 대한 이전 버전과 호환되는 802.11ay 개정판은 속도를 몇배 높이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처음에는 802.11ay-802.11ay간 장치 설정으로 20~30Gbps의 전송 속도와 33~100 피트의 범위가 되더럭 했지만, 채널 결합, MIMO 및 기타 기능이 활용되면 200Gbps에 가까워지고 거리는 약 1,000 피트에 이르도록 할 수 있습니다 .

802.11ay는 스펙이 개발됨에 따라 802.11ad 기술을 통해 얻는 것보다 광범위한 제품을 실제로 가능하게 합니다. 802.11ay는 채널 결합에서 더 많은 매개 변수를 사용할 수 있으며, MIMO MAC 수준의 기능을 통해 훨씬 더 넓은 범위의 성능과 제품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MORE: Read our Q&A with Peraso's Brad Lynch

802.11ay 2.5 5GHz 대역에서 작동하는 802.11ax와 다른 종류의 기술입니다.

802.11ay 사용 영역

802.11ay의 고속전송이 실제로 얼마나 빨리 필요하게 될지 아직까지 알지 못합니다. 그러나 거리 제한을 고려할때 802.11ad가 지원을 못하는 대신 802.11ay가 마침내 더이상 모든 사람의 책상에 이더넷 케이블을 연결할 필요가 없게 만들어 줍니다.

802.11ay에 대해 언급한 대부분의 것들은 고정 포인트간 또는 멀티 포인트 옥외 백홀 기술로서의 잠재력에 대해 더욱 열정적이었습니다. 캠퍼스 및 도시 네트워크의 경우 백홀 (메쉬가 아닌)을 사용하여 802.11ad 802.11ay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802.11ay가 내부 메쉬 및 백본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VR 헤드셋에 대한 연결성 제공, 서버 백업 지원 및 대기 시간이 짧은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처리와 같은 기타 용도로도 역할을 할 수도 있습니다.

소비자 측면에서 볼 때 지난 해의 추세는 실제로 케이블을 제거하는 것이었으므로 HDMI 또는 USB 대체품인 802.11ay는 아주 매력적인 기술이 될 것이라고 합니다.

2017년 8월 21일 월요일

RFID 동작 방식

무선 주파수 식별 (RFID) 시스템은 세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 스캐닝 안테나
▲ 데이터를 해석하는 디코더가 있는 송수신기
▲ 정보가 프로그래밍된 트랜스폰더 (Transponder) : RFID 태그)

스캐닝 안테나는 비교적 짧은 범위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출력합니다. RF 전파는 두 가지 작업을 수행합니다.

▲ 트랜스폰더 (RFID 태그)와 통신하는 수단을 제공
▲ 통신하기 위한 에너지를 RFID 태그에 제공 (수동 RFID 태그의 경우)


이것이 RFID 기술의 핵심 부분입니다. RFID 태그는 배터리를 포함할 필요가 없으므로 매우 오랜 시간 (수십년)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스캐닝 안테나는 표면에 영구적으로 부착할 수 있습니다. 핸드 헬드 안테나도 제공됩니다. 그들은 필요한 모양을 취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통과하는 사람이나 물체의 데이터를 받아들이기 위해 문틀에 넣을 수 있습니다.

RFID 태그가 스캐닝 안테나의 필드를 통과하면 안테나로부터 활성화 신호를 감지합니다. 이는 RFID 칩을 "깨우고", 스캐닝 안테나에 의해 픽업될 마이크로 칩의 정보를 전송합니다.

또한, RFID 태그는 2 가지 유형중 하나일 수 있습니다. 액티브 RFID 태그에는 자체 전원이 있습니다. 이 액티브 RFID 태그의 이점은 정보 전송거리가 길게 동작하게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장치중 일부는 수명이 최대 10년까지 유지되도록 제작되었더라도 여전히 수명은 제한적입니다. 그러나 패시브 RFID 태그는 배터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훨씬 더 작을 수 있으며 수명이 거의 제한되지 않습니다.

RFID 태그는 바코드 또는 기타 광학 판독 기술이 쓸 수 없는 다양한 상황에서 판독될 수 있습니다.

▲ 태그는 물체의 표면에 있을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마모의 대상이 되지 않습니다).
▲ 읽기 시간은 일반적으로 100 밀리초 미만입니다.
▲ 대량의 태그는 하나씩 읽는 것이 아니라 한번에 즉시 읽을 수 있습니다.

이것이 RFID의 작동 방식입니다.

2017년 8월 20일 일요일

RFID이란 무엇인가?

RFID이란 무엇인가?

RFID는 무선 주파수 식별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을 나타내는 용어로서, 소형 칩과 안테나로 구성된 소형 전자 장치를 말합니다. 이 칩은 일반적으로 2,000 바이트 이하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RFID 장치는 신용 카드 또는 ATM 카드 뒷면에 있는 바코드 또는 자기 띠와 같은 용도로 사용됩니다. , 특정 객체에 대한 고유한 식별자를 제공합니다. 정보를 얻기 위해 바코드 또는 자기 띠를 스캔해야 하는 것처럼 RFID 장치를 스캔하여 식별 정보를 검색해야 합니다.


RFID의 잇점

위에서 언급한 다른 것들에 비해 RFID 장치의 중요한 장점은 RFID 장치를 스캐너에 정확하게 댈 필요가 없다는 것입니다. 바코드는 일반 점포 점원이 때때로 바코드를 읽는데 실패하는 경우가 많아 여러 차례 바코드를 스캔하는 경우가 있으며, 신용 카드와 ATM 카드도 자기 정보를 읽을때 실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조적으로, RFID 장치는 스캐너와의 거리가 수 미터 내에서 작동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모든 식료품이나 물건을 가방에 넣은 채로 스캐너로 가방내의  모든 RFID 장치를 쿼리하고 즉시 구매 금액을 합산할 수 있습니다.

RFID 기술은 개발한지 50년 이상 되었지만, 실제 활용된지는 얼마되지 않습니다. Alien Technologies는 최근 태그당 약 10 센트의 비용으로 질레트에 5억 개의 RFID 태그를 판매했습니다.

RFID가 활용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린 한 가지 이유는 업계 표준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RFID가 제공하는 많은 잇점은 회사와 회사로 또는 국가와 국가로의 물품을 추적할시 추적을 용이하게 하는데, RFID 기술에 투자한 대부분의 회사는 태그를 사용하여 통제 범위내의 항목에 대해서만 추적하기 때문입니다.

아래 표는 RFID 종류에 따른 사용 주파수와 사용가능한 거리 등를 보여줍니다.


RFID의 일반적인 문제점

RFID의 일반적인 문제점중 하나는 리더 충돌 및 태그 충돌입니다. 리더 충돌은 둘이상의 리더에서 오는 신호가 겹칠때 발생합니다. 태그가 동시에 쿼리에 응답할 수 없습니다. 이 문제를 피하려면 시스템을 신중하게 설정해야 합니다. 태그 충돌은 작은 영역에 많은 태그가있을때 발생합니다. 그러나 읽기 시간이 매우 빠르기 때문에 공급 업체가 태그가 한 번에 하나씩 응답하도록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더 쉽습니다.

2017년 5월 9일 화요일

ViLTE (Video over LTE)의 개요

ViLTE Video over LTE를 의미하며, VoLTE의 확장본입니다. , LTE망을 통해 음성대신 고품질 비디오를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ViLTE는 대화형 비디오 서비스로 IP Multimedia Subsystem (IMS) Core Network을 기반으로 합니다. 또 대화형 비디오는 EPC-integrated WiFi를 통해서도 가능합니다 (VoWiFi 참조).

ViLTE 서비스를 위해서는 Voice over LTE (VoLTE)를 필요로 합니다. 사용자를 위한 가장 최선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RCS ViLTE를 결합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용자 및 운영자 관점에서 ViLTE의 잇점은

VoLTE와 마찬가지로 SIM 기반 인증을 기반으로 하는 보안 잇점
VoLTE의 경우 IMS MMTEL 응용 프로그램 서버에서 제공하는 화상 전화 서비스 사용
▲ 모든 IMS 기반 서비스에 대해 단일 청구서

VoWiFi (Voice over WiFi)의 개요

VoWiFi란 간단히 말하자면 Voice over (EPC-integrated) WiFi를 의미하는데, WiFi를 통한 음성통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VoWiFi VoLTE에 대한 보완적인 기술이며, WiFi망을 통한 IP상으로 전송되는 패킷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IMS 기술을 이용합니다.

가능하다면 VoLTE 통화는 LTE 망과 WiFi 망사이에서 핸드오버될 수도 있습니다. 비디오 통화도 WiFi를 통해 가능하게 할 수도 있습니다.



VoWiFi의 잇점을 사용자 관점에서 정리해보면,

▲ 모바일 신호가 없이도 음성 통화를 가능하게 함
SIM 기반 인증을 통한 보안 제공
▲ 더 나은 실내 커버리지 제공

운영자 관점에서 정리해보면,

▲ 확장된 수익 창출 기회 제공
VoLTE와 관련하여 기존의 SIM 기반 보안 및 인증을 활용
WiFi 액세스를 통해 IMS 기반 서비스에 액세스할 수 있는 기회 제공
▲ 서로 다른 액세스 유형에서 모든 IMS 기반 서비스에 대해 사용자에게 단일 청구서 발행.
▲ 고객과의 지속적인 관련성 보장.
IMS MMTEL 응용 프로그램 서버에서 제공하는 음성/화상 전화 서비스 제공

VoLTE (Voice over LTE) 개요

VoLTE "Voice Over LTE"의 약자로, 이전에 사용되는 2G 또는 3G 연결보다는 4G LTE 네트워크를 통한 음성 통화를 지칭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4G를 주로 다운로드, 스트리밍 및 웹 브라우징과 관련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4G가 현재까지 인식된 것이외에 음성 전화를 개선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래 LTE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완벽한 IP 셀룰러 시스템이며, LTE 사업자는 음성 통화를 2G 또는 3G 시스템으로 전환시키거나 VoIP를 사용하여 음성을 전달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이 비호환성으로 이어져 모든 전화기가 서로 통신할 수가 없게 되고 이로 인해 음성 트래픽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SMS 서비스는 여전히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음성 통화 및 SMS로 인한 수익은 감소되고 있는데, Voice over LTE의 음성 통화의 수익을 보호하기 위해서 표준화된 체계가 필요합니다.


VoLTE는 대화 형 비디오 (ViLTE-Video over LTE) RCS 기반 (Rich Communication Services) Enhanced Messaging을 배치하여 풍부한 통화 경험을 제공하는 공통 플랫폼을 제공하는 IMS 기술을 사용합니다.

이런 표준화된 체계를 위해 GSMA는 단일 네트워크, 상호 연결 및 로밍 시나리오에 대하여 VoLTE 서비스 설명 및 구현 지침을 게시했습니다.

이 문서들은 단일 무선 음성 통화 연속성 (VoLTE에서 2G/3G 액세스로의 음성 통화의 원활한 핸드 오버 제공) LTE내 핸드 오버에 대해서도 설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GSMA는 필수 IP 통신 기술 지원을 제공합니다. VoLTE 배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문제/지식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IOT (Interoperability Testing) 및 운영 업체의 상용 배포 및 관련 솔루션에서 발견된 문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아래 문서 목록들이 GSMA에서 배포하고 있는 문서들입니다.

IR.92 (VoLTE) – IMS Profile for Voice and SMS
IR.94 (Video) – IMS Profile for Conversational Video Service
IR.34 – Guidelines for IPX Provider networks (Previously Inter-Service Provider IP Backbone Guidelines)
IR.39 – IMS Profile for High Definition Video Conference (HDVC) Service
IR.58 – IMS Profile for Voice over HSPA
IR.64 – IMS Service Centralisation and Continuity Guidelines
IR.65 – IMS Roaming and Interworking Guidelines
IR.67 – DNS/ENUM Guidelines for Service Providers and GRX/IPX Providers
IR.88 – LTE Roaming Guidelines
NG.102 – IMS Profile for Converged IP Communications
IR.95 – SIP/SDP Profile for inter-IMS NNI

2017년 5월 4일 목요일

POLQA (Perceptual Objective Listening Quality Analysis)에 대한 현황

POLQA (Perceptual Objective Listening Quality Analysis)는 유선, 모바일 및 IP 기반 네트워크의 음성 품질 벤치마킹을 위한 글로벌 표준입니다. 2011년 국제 전기 통신 연합 (ITU-T)에서 표준 P.863으로 표준화되었으며 VoIP, HD 음성, 3G 4G/VoLTE 네트워크의 음성 품질 분석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좀더 진화된 POLQA 버전이 2014 9월에 채택되었습니다.

POLQA 표준은 2001년 이전의 PESQ (ITU-T Recommendation P.862)에 대한 기술 업그레이드 요구 사항과 3세대 음성 품질 매트릭을 정의하기 위해 수행된 결과로 ITU-T Study Group 12의 업계 전문가를 초청하여 2006년에서 2011년까지 개발되었습니다.

POLQA는 벤치 마크 정확도의 진보된 수준을 제공하며 가장 최근의 음성 코딩 및 VoIP/VoLTE 전송을 지원하는 동시에 광대역 (Wideband) 및 초광대역 (Super-Wideband : HD) 음성 신호를 위한 중요한 새로운 기능등이 추가되어 있습니다. POLQA는 차세대 네트워크의 음성 품질을 평가, 최적화 및 모니터링하는데 이상적입니다.

POLQA 측정 알고리즘은 OPTICOM, SwissQual TNO의 공동 개발로 저작권 및 특허로 보호되며 OPTICOM의 라이센스하에 다양한 플랫폼용 소프트웨어로 제공됩니다. POLQA 연합은 2014 9 ITU-T SG12에서 채택한 새로운 버전 V2.4, "POLQA 2015"를 개발하여 POLQA를 더욱 발전시켰습니다.

현재까지 80개 이상의 공급업체 및 운영업체가 POLQA/P.863의 제품 라이센스를 취득했으며 휴대폰, 스마트폰, 네트워크 시스템 또는 서비스의 개발, 디자인 및 최적화 과정에서 사용합니다.


음성 품질에 대한 평가는 주변 환경 및 듣는 이의 경험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기 때문에 음성 품질을 정량적으로 측정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입니다. 그럼에도 우리는 통화 음질이 잡음 없이 명료한지, 소리가 중간에 끊기지 않고 잘 들렸는지 등 어느 정도는 통화 품질의 좋고 나쁨에 대해 이야기해야만 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사람이 평가한 MOS값을 예측할 수 있는 Objective/Predictive Testing 알고리즘이 개발되어 왔으며, 현재 널리 사용되는 국제 표준으로 PSQM (1996), PEAQ (1999), PESQ (2000), 3SQM(2004), PEVQ (2008), POLQA (2010) 알고리즘 등이 있습니다.

Objective Testing 알고리즘은 원음과 음성 통신 시스템에 의해 왜곡된 음성이 있다면 누구나 객관적으로 MOS값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음성 통신 시스템의 음성 품질을 benchmarking할 수 있습니다.

Objective Testing 방식중 가장 대표적인 PESQ POLQA에 대한 MOS값 관계를 비교한 표가 아래에 있습니다.


POLQA
(Superwideband)
PESQ
(Narrowband)
Transparent transmission
50 14000 Hz (Superwideband)
4.8

Transparent transmission
50 7000 Hz (Wideband)
4.5

AMR-WB
12.65kbps (50-7000Hz)
4.0

Transparent transmission
300 3400 Hz or wider (Narrowband)
3.8
4.5
G.711 (A-Law standard PCM)
3.7
4.3
EFR/AMR-FR 12.2kbps
3.6
4.1
EVRC 9.5 kbps
3.4
3.9

2017년 4월 29일 토요일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란 무엇인가?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는 디지털 회로를 마치 프로그램하듯이 설계할 수 있게 만들어진 반도체 칩입니다.

FPGA는 비어 있는 회로판과 같이, 그 자체로 아무것도 할 수 없습니다. 디자이너는 FPGA에 대해 비트 파일이라고 하는 구성 파일을 작성해야 합니다. 일단 로드되면 FPGA는 설계한 디지털 회로처럼 동작합니다.

FPGA는 정말 대단한 이유중 하나는 ASIC과 달리 회로 설계가 설정되어 있지 않고 디자이너가 원하는대로 FPGA를 몇 번을 다시 구성할 수 있습니다. ASIC을 만들면 잠재적으로 수백만 달러의 비용이 발생하고 몇 주 또는 몇 달이 걸릴 수 있습니다.


FPGA 대 마이크로 컨트롤러

FPGA와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비교해보면, 그것들이 매우 다른 장치라는 것을 이해해야 합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원하는 프로그램을 보통 C 또는 C++로 소프트웨어를 작성하고 이를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로드할 수 있게 16진수 파일로 컴파일해야 합니다. 16진수 프로그램이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되고, 실행시키면 원하는 기능을 실행하게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FPGA는 다릅니다. FPGA를 게이트와 같은 단순한 것으로 구성하거나 멀티 코어 프로세서만큼 복잡한 것으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 원하는 설계를 만들려면 몇가지 HDL (Hardware Description Language)를 사용할 수 있는데, HDL은 마치 소프트웨어와 비슷하게 하드웨어를 구성할 수 있게 해주는 언어입니다. 가장 인기있는 2가지 HDL Verilog VHDL입니다. 그런 다음 FPGA를 구성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비트 파일로 변환시켜 FPGA를 구성하게 하면 됩니다.

일반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경우 특정 기능을 위한 전용 핀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직렬 포트로 사용되는 일부 마이크로 프로세서에는 핀이 2개만 있을 것입니다. FPGA를 사용하면 원하는 만큼 많은 직렬 포트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FPGA의 유일한 한계는 물리적인 I/O 핀의 갯수와 FPGA의 크기입니다.

2017년 4월 24일 월요일

Raw Flash Memory와 eMMC 및 UFS 비교

eMMC NAND UFS 메모리 모두 "관리형 NAND (Managed NAND)"의 좋은 예입니다. 이러한 대용량 저장 장치에는 다른 관련 컨트롤러 및 인터페이스 회로와 함께 NAND 플래시 메모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컴트롤러 (Controller)

NOR NAND 플래시 메모리는 원래 별도의 하드웨어 플래시 컨트롤러가 필요하지 않았습니다. 하드웨어 플래시 컨트롤러의 주요 특징중 하나는 ECC (Error Correction and Coding)입니다. 소프트웨어 컨트롤러 솔루션은 최신 MLC NAND 플래시에 필요한 20비트 이상에 불과한 몇 비트의 수정 및 감지만을 합리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NAND 플래시를 사용하는 새로운 디자인은 종종 하드웨어 플래시 컨트롤러가 필요합니다.

시스템 설계자가 직면하는 한 가지 문제는 하드웨어 플래시 컨트롤러 기능을 NAND 플래시의 요구 사항과 일치시키는 것입니다. 새로운 플래시 부품의 경우 ECC가 더 많이 필요합니다. 이는 디자인 변경, 미디어 인터페이스 루틴 수정 및 실패 위험 증가를 의미합니다.

eMMC UFS는 모두 기본 제공 컨트롤러 모듈을 포함하고 있으며 설계상 기본 NAND ECC 요구 사항을 처리 할 수 있습니다. ECC 전략 (재시도 횟수, 블록 불량 표시시기 등)을 처리하는 펌웨어는 eMMC UFS 미디어에 내장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플래시를 위한 소프트웨어에서 제공되어야 합니다.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소한 점은 오류 트래픽입니다. 별도의 컨트롤러를 사용하면 플래시 미디어 오류가 회로 경로를 통해 전송되고 의사 결정에 주프로세서가 관련됩니다. eMMC UFS 모두 전용 프로세서를 통해 내부적으로 이를 처리합니다. 또한 ONFI EZ-NAND 사양을 기반으로 오류 수정 기능이 내장된 다양한 플래시 미디어가 있습니다. , Micron ClearNAND Toshiba SmartNAND 등이 그것입니다. 이 부분에서 웨어 레벨링은 외부 소프트웨어 솔루션에 의해 제공됩니다.

폼 팩트 (Form Factor)

NOR NAND 플래시 메모리는 다양한 제조업체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폼팩터 (Form Factor)와 핀 배열은 매우 다양하므로 임베디드 시스템 디자이너에게 또다른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eMMC UFS 미디어의 현재 디자인은 몇 가지 표준 폼팩터 및 모든 공급 업체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능 세트 (Feature Set)

플래시 메모리에는 공통 인터페이스 루틴과 함께 공급 업체별 기능 세트가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공급 업체별 명령은 디자이너에게 추가 성능 또는 특수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다소 제한적인 요소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eMMC UFS의 액세스 루틴은 공통 Command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준화되므로 기본 드라이버는 부품을 읽고 쓰고 지울 수 있습니다. 공급 업체는 구현할 선택적 Jedec 사양 기능 목록이 많을 수 있으나 구현에 따라 제한적인 요소가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펌웨어 성능은 따로 규정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공급 업체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eMMC란 무엇인가?

eMMC라는 용어는 "임베디드 멀티미디어 컨트롤러 (Embedded Multi-Media Controller)"의 약자로, 동일한 실리콘 다이에 플래시 메모리와 플래시 메모리 컨트롤러로 통합되어 구성된 패키지를 의미합니다.

eMMC 솔루션은 MMC (멀티미디어 카드) 인터페이스, 플래시 메모리 및 플래시 메모리 컨트롤러의 세 가지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산업 표준 BGA 패키지로 제공됩니다.

디지털 카메라, 스마트폰 및 태블릿과 같은 오늘날의 임베디드 응용 프로그램은 거의 항상 플래시 메모리에 내용을 저장합니다. 과거에는 응용 프로그램 CPU에 의해 구동되는 데이터 읽기 및 쓰기를 관리하는 전용 컨트롤러가 필요했습니다. 그러나 반도체 기술이 스토리지 밀도를 크게 높이기 위해 발전함에 따라 컨트롤러가 플래시 메모리 다이의 외부에서 이러한 기능을 관리하는 것은 비효율적이 되었습니다.

따라서 eMMC는 컨트롤러를 플래시 다이에 번들로 제공하는 표준화된 방법으로 개발되었습니다. eMMC가 향상됨에 따라 표준은 고성능 및 보안에 대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안전한 지우기 및 우선 순위가 높은 인터럽트와 같은 기능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eMMC 표준은 고해상도 비디오를 저장하도록 설계된 고밀도 칩의 데이터 전송 속도와 처리량을 개선하기 위해 만들어졌지만 새로운 시대에는 더 많은 응용 프로그램을 위해 더 많은 작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표준은 더 풍부한 목적을 위한 추가 새로운 기능이 포함되도록 발전될 것입니다.

eMMC에 대해 현재의 5.1로 삼성의 64GB eMMC 5.1의 속도는 읽기 11,000 IOPS(input/output operations per second), 쓰기 13,000 IOPS입니다. 이전 eMMC 5.0 표준에 기반한 64GB 드라이브의 대략적인 성능은 7,000 IOPS이었습니다. eMMC 5.1의 읽기 쓰기 속도는 일반적으로 모바일 기기 슬롯안에 들어가는 마이크로-SD 카드보다 각각 7~26배 정도 빠릅니다.

역설적인 사실 하나는 이번 표준이 이미 후계자를 보유하고 있다는 것인데, JEDEC이 개발해 발표한 UFS(Universal Flash Storage) 2.0 표준이 그것입니다. UFS 표준은 모바일 기기 내부의 고용량 플래시 드라이브 시장을 겨냥해 개발된 표준으로, 스토리지 수요 증가 트렌드로 인해 활용처가 늘어나는 추세로, 결국에는 모바일 기기에 더 큰 용량의 스토리지가 필요해지면서 UFS 2.0 eMMC 5.1을 대체할 가능성이 유력합니다.

2017년 4월 22일 토요일

비콘 (Beacon) 플랫폼의 이해

비콘 (Beacon)은 BLE 기술을 이용해 약 90미터 이내의 스마트폰과 태블릿 등
장치에 신호를 전송하는 소형 저전력 상시 동작형 (always-on) 장치입니다.
단방향 신호전송 구조를 갖추고 있는데, 이는 외부 모바일 장치가 비콘으로
신호를 보내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비콘은 신호를 보낼 뿐이며, 스스로는 물론 인근의 다른 장치를 인식하지
못하며, BLE 패킷을 전송할 뿐입니다.

이러한 구조를 기반으로 비콘은 상점이나 공항 등에서 가까운 거리의 휴대용
장치에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모바일 장치를 갖고 있는 사람들은 길
안내, 상점의 할인 정보에 관한 정보를 얻는 방식으로 비콘을 이용하게 됩니다.

비콘은 또 장치 및 사용자 추적에도 비콘이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케터는 매장내 특정 진열대에서 고객들이 체류하는 시간을 판단하는 용도로
비콘을 이용할 수 있다.

애플의 아이비콘 (iBeacon)은 가장 먼저 표준화된 BLE 비콘 플랫폼입니다.
애플은 2013년 여름 WDC (Worldwide Developers Conference)에서 iOS7이 비콘을
지원하기 시작했음을 알렸습니다. 아이비콘 플랫폼은 개발자가 아이비콘을
지원하는 장치에서 정보를 수신하는 모바일 앱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해주는데,
위치를 인식한 알림 기능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애플은 미국내 254개 매장 전부에 아이비콘을 설치하기도 했는데, 이로써
블루투스를 지원하고, 위치 확인 기능을 활성화시킨 iOS 장치를 갖고 있는
쇼핑객은 애플 스토어 앱에서 신제품과 할인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2015년 7월에는 구글이 BLE 비콘 기술인 에디스톤 (Eddystone)을 발표했는데,
아이비콘과 유사하지만 아이비콘과 달리 기트허브 (GitHub) 등에서 입수할 수
있는 오픈소스 기술입니다.

그런데 iOS 및 안드로이드 사용자들은 아이비콘과 에디스톤 플랫폼을 매개체로
전송된 메시지를 모두 수신할 수 있는데, 이는 아이비콘과 에디스톤이
호환된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나 두 플랫폼에는 일부 차이점도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구글의 비콘
플랫폼은 모바일 장치에 URL을 전송한다. 이를 모바일 브라우저에서 열어 확인할
수 있으며, 모바일 브라우저를 앱으로 활용한다는 구글의 철학이 반영된
것입니다. 반면 애플의 아이비콘은 사용자 스마트폰에 설치된 모바일 앱만
지원합니다.

2016년 9월 22일 목요일

미래 혁신기업 순위 조사 결과

전자신문과 특허 분석 전문기업 광개토연구소가 공동으로 '2020 특허미래기술 Top 100'을 조사한 결과입니다.

삼성전자는 100대 특허미래기술 가운데 글로벌 경쟁사들보다 많은 50개 영역에서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MS(32), 퀄컴(30), 구글(29), IBM(27) 순으로 분석되었다고 합니다.

그외에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LG전자, 인텔, 애플, GE 등도 기술혁신 선도기업 톱10으로 조사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