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블루투스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블루투스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7년 11월 30일 목요일

Bluetooth 5.0의 새로운 기능

블루투스는 약 20년 동안 사용되어 왔으며 v1.0의 첫 번째 릴리스 이후로 버전 1.2, 2.0, 2.1, 3.0, 4.0, 4.1, 4.2 및 마지막으로 2016 12월에 출시된 버젼 5까지 각각 중요한 개선 및 이점을 가져 왔습니다. 가장 중요한 점은 버전 4.0 BLE (Bluetooth Low Energy) 또는 Bluetooth Smart (Bluetooth 5 발표에 따르면 Bluetooth SIG Bluetooth Smart 사용을 제거하기 위한 브랜드 지침을 변경했다는 사실에 주목할 가치가 있음)입니다. 원래 BLE는 저전력, 저 대역폭 상태 정보를 목표로 하고 있었으므로 가능한 적은 에너지로 소량의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것이 주요 용도였으므로 오디오 기능이 부족했습니다. 이 새로운 무선 장치는 초당 1M 심볼의 데이터 속도를 제공했지만 L2CAP GATT와 같은 프로토콜의 오버 헤드로 인해 실제 데이터 속도는 최대 250kbps였습니다. 기기 OEM은 원격 디스플레이 또는 데이터로 스마트폰/태블릿 주변에 구축된 수많은 배터리 구동 장치에 대한 단거리 무선 연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했으므로 "IOT (Internet of Things)"가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Bluetooth 5의 모든 주요 개선 사항은 BLE 라디오를 위한 것이며, Bluetooth Classic 라디오와 관련된 새로운 기능은 없습니다.
■ 블루투스 5 코어 사양은 현재 이용 가능하지만 실리콘, 스택 및 궁극적으로 모듈 공급 업체가 새로운 블루투스 5 기능을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테스트 도구를 갖추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립니다.
■ 블루투스 5 연결을 위해서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을 사용하는 경우, 지원하고 인증을 받은 장치가 대량 판매되기 전에 다소 시간이 걸릴 것입니다.

블루투스 5 BLE 라디오 PHY에 대한 여러 가지 향상된 기능과 +10에서 +20dBm의 최대 송신 전력 증가를 통해 범위 및 속도면에서 IoT 애플리케이션에서 오는 기대를 충족시킬 것으로 보입니다. 어떤 의미에서는 한 개의 새로운 무선 PHY가 훨씬 더 많은 범위를 제공하지만 데이터 전송 속도는 낮아지고 다른 새로운 PHY 2배의 속도 향상을 제공하여 무선 사용 시간이 대략 절반이므로 대량 데이터의 효율적인 전송을 제공합니다. 블루투스 5는 이미 광고 채널을 통해 오디오 (또는 동기 데이터)를 방송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조항을 마련하고 있지만, 향후 버전에서 잠재적으로 도입될 예정인 Audio over BLE (현재의 블루투스 클래식과 유사, BT v4.0 이전의 블루투스 사양의 오디오 기능으로 정의됨)의 잠재적인 도입을 위한 토대를 초고속 PHY는 제공합니다.

2배의 데이터 속도

블루투스 5 'LE 2M'이라 불리는 새로운 무선 PHY를 도입하여 일반 BLE 데이터 전송률을 초당 2M 심볼로 두 배로 늘림으로써 무선 링크를 통해 전송된 동일한 데이터가 전작과 비교하여 Bluetooth 5에서 절반의 시간이 소요됨을 의미합니다. , 라디오가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더 짧은 시간동안 작동하여 전력 소비를 줄여 배터리 수명을 늘릴 수 있다는 큰 이점을 제공합니다.

LE Long Range

블루투스 5는 초당 1M 심볼인 'LE Coded'라 불리는 2번째 새로운 무선 PHY를 추가로 도입했지만 125kbps 또는 500kbps의 낮은 패킷 코딩 조합을 사용합니다 (FEC와 확산 계수 2 또는 8을 모두 사용하는 비트 중복성) 및 최대 TX 전력이 +20dBm으로 증가하여 범위가 4배 증가할 수 있습니다. 광고 및 데이터 패킷 모두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의 장점은 건물에서 무선 신호의 보급률이 높아지므로 제품 설계자는 예를 들어 사양 4.2 버전에서 도입된 향상된 보안 기능과 결합하여 보다 나은 가정용 자동화 제품을 만들 수 있다는 것입니다.

전력 소비면에서 이 패킷은 약 2~8 배 긴 지속 시간을 가지며 최장 16밀리 초이므로 동일한 양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소비 전력이 증가하므로 배터리 수명이 현저히 단축됩니다.

LE 광고 확장

BLE (BT v4.x 이후) 2.4GHz 대역에서 작동하며 각 2MHz 폭의 40개 채널로 구성됩니다. 40개 채널중 3개는 광고 전용이며 나머지 37개 채널은 데이터 연결용으로 할당됩니다. 광고 채널에서 광고주는 20밀리초 미만의 간격으로 패킷을 광고할 수 없으며 일반적으로 100밀리초 이상을 보게 됩니다. 데이터 채널에서 장치는 7.5밀리 초의 속도로 패킷을 전송할 수 있으므로 광고 패킷으로 브로드 캐스팅할때 얻을 수 있는 것보다 높은 처리량을 얻을 수 있습니다.

광고할때 동일한 데이터가 핑// (Ping/Ping/Ping) 방식이라고 부르는 세 광고 채널을 통해 연속적으로 신속하게 광고됩니다. 광고 패킷 (기본 광고 패킷이라고도 함)에는 31옥텟보다 길 수 없는 데이터가 들어 있습니다.

블루투스 5의 향상된 기능으로 광고 패킷을 데이터 채널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 (사양에서는 "보조 광고 채널"이라고 표시함). 이러한 데이터 채널의 각 패킷은 255옥텟까지 가능하며 데이터 연결과 같이 최소 7.5밀리초 간격으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

Bluetooth 5 사양보다 오래된 기존 BLE 장치가 혼동되지 않도록 새로운 기본 광고를 정의했습니다. 이 기본 광고에는 헤더 값이 있어서 기존의 기본 광고 채널중 하나에서 볼때 구형 장치가 이를 무시합니다. 이 새로운 기본 광고는 데이터 채널에서 보조 광고 패킷의 체인에 대한 포인터로 사용됩니다.

간단히 말하면, 기존의 광고 패킷에 대해 정의된 광고 데이터 (AD) 요소가 아닌 새로운 기본 광고 패킷의 페이로드를 고려해야 하지만, 다음을 포함하는 "일반 확장 광고 페이로드"라는 새로운 유형의 페이로드를 생각해보면, 데이터 채널 번호 및 이 주광고 패킷으로부터의 시간 오프셋을 포함합니다. 기본적으로 이 광고의 수신자는 데이터와 추가 링크/체인 패킷에 대한 포인터 정보가 포함된 연결된 광고를 언제 어디서 청취 할 것인지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 체인 패킷수는 1500바이트를 넘는 광고 데이터를 전달하는데 필요한 만큼 많습니다 (개별 패킷마다 255바이트를 초과할 수 없음).


데이터 채널에서 이러한 연쇄 광고 패킷은 애플리케이션이 데이터가 분할되는 방식에 대해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것입니다. BLE 소프트웨어 스택은 하나의 긴 데이터 버퍼를 수용하는 API를 제공 할 것이며, 데이터 채널을 결정하고 데이터가 언제 전송되는지를 가정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반대로, 수신 장치의 BLE 스택은 모든 데이터를 대조하여 완전히 수신된 경우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할 것입니다.

이러한 유형의 향상된 광고 유형에는 오디오와 같은 동기식 데이터 전송이 포함됩니다. 유스 케이스는 예를 들어, 박물관에서 전시회와 관련된 오디오 방송 또는 코치의 여행 가이드의 해설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새로운 기본 광고는 보조 패킷을 가리키고, 보조 패킷은 알려진 종료 싯점에 있는 패킷의 "연결없는" 블록를 차례로 지정합니다. 종료 정보 및 액세스 어드레스 코드는 수신 장치가 오디오 스트림을 "튜닝"할 수 있게 하는 보조 패킷에 의해 제공됩니다.


보시다시피 기본 광고 채널은 정기적인 간격으로 반복됩니다. 이렇게 하면 새 수신기가 보조 패킷의 정보를 선택하여 오디오를 항상 조정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메인 광고 채널에서 기본 채널을 사용하여 위치합니다. Bluetooth 5 기능 향상에 대한 좋은 점은 무선 하드웨어의 변경 요구 사항이 없다는 것입니다. 기본적으로 칩셋 제조업체는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업데이트된 스택을 제공해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Bluetooth 5는 기존 및 향후 모듈에서 고객에게 제공할 수있는 상당한 새 기능을 제공합니다.

2017년 4월 22일 토요일

비콘 (Beacon) 플랫폼의 이해

비콘 (Beacon)은 BLE 기술을 이용해 약 90미터 이내의 스마트폰과 태블릿 등
장치에 신호를 전송하는 소형 저전력 상시 동작형 (always-on) 장치입니다.
단방향 신호전송 구조를 갖추고 있는데, 이는 외부 모바일 장치가 비콘으로
신호를 보내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비콘은 신호를 보낼 뿐이며, 스스로는 물론 인근의 다른 장치를 인식하지
못하며, BLE 패킷을 전송할 뿐입니다.

이러한 구조를 기반으로 비콘은 상점이나 공항 등에서 가까운 거리의 휴대용
장치에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모바일 장치를 갖고 있는 사람들은 길
안내, 상점의 할인 정보에 관한 정보를 얻는 방식으로 비콘을 이용하게 됩니다.

비콘은 또 장치 및 사용자 추적에도 비콘이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케터는 매장내 특정 진열대에서 고객들이 체류하는 시간을 판단하는 용도로
비콘을 이용할 수 있다.

애플의 아이비콘 (iBeacon)은 가장 먼저 표준화된 BLE 비콘 플랫폼입니다.
애플은 2013년 여름 WDC (Worldwide Developers Conference)에서 iOS7이 비콘을
지원하기 시작했음을 알렸습니다. 아이비콘 플랫폼은 개발자가 아이비콘을
지원하는 장치에서 정보를 수신하는 모바일 앱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해주는데,
위치를 인식한 알림 기능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애플은 미국내 254개 매장 전부에 아이비콘을 설치하기도 했는데, 이로써
블루투스를 지원하고, 위치 확인 기능을 활성화시킨 iOS 장치를 갖고 있는
쇼핑객은 애플 스토어 앱에서 신제품과 할인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2015년 7월에는 구글이 BLE 비콘 기술인 에디스톤 (Eddystone)을 발표했는데,
아이비콘과 유사하지만 아이비콘과 달리 기트허브 (GitHub) 등에서 입수할 수
있는 오픈소스 기술입니다.

그런데 iOS 및 안드로이드 사용자들은 아이비콘과 에디스톤 플랫폼을 매개체로
전송된 메시지를 모두 수신할 수 있는데, 이는 아이비콘과 에디스톤이
호환된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나 두 플랫폼에는 일부 차이점도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구글의 비콘
플랫폼은 모바일 장치에 URL을 전송한다. 이를 모바일 브라우저에서 열어 확인할
수 있으며, 모바일 브라우저를 앱으로 활용한다는 구글의 철학이 반영된
것입니다. 반면 애플의 아이비콘은 사용자 스마트폰에 설치된 모바일 앱만
지원합니다.

2016년 8월 24일 수요일

블루투스 프로파일 개요 (Bluetooth Profiles Overview)

블루투스 무선 기술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장치는 특정 블루투스 프로파일 (Bluetooth Profile)을 해석할 수 있어야 합니다.

블루투스 프로파일은 가능한 응용 프로그램를 정의하며, 블루투스 장치가 다른 블루투스 장치와 통신하는데 사용하는 일반적인 특성을 규정합니다.

장치의 다양한 응용 또는 사용 사례의  종류를 설명하는 다양한 종류의 블루투스 프로파일이 있습니다.

블루투스 규격에서 제공하는 지침을 준수함으로써, 개발자는 다른 블루투스 장치와 함께 작동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습니다.

최소한, 각각의 블루투스 프로파일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합니다.

▲ 다른 프로파일에 대한 종속성
▲ 제안된 유저 인터페이스 형식
▲ 프로파일에 의해 사용되느 블루투스 프로토콜 스택 (Bluetooth Protocol Stack) 부분. 각 프로파일은 스택의 각 레이터 (Layer)에서 특정 옵션 및 매개 변수를 사용하며, 적절하다면, 필요한 서비스 레코드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Adopted Bluetooth Profiles, Services and Protocols

GATT based
BR/EDR Profiles
BR/EDR Protocols

GATT Based

ANP (Alert Notification Profile) : 알림 (Alert) 및 이벤트 정보의 종류뿐만 아니라 서버 장치에 존재하는 새로운 알림 (Alert) 및 읽지 않은 항목의 수의 정보를 클라이언트 장치가 수신할 수 있게 합니다.

ANS (Alert Notification Service) : 다양한 경보 (Alert)의 종류를 제공합니다.

BAS (Battery Service) : 장치내의 배터리의 상태를 제공합니다.

BLP (Blood Pressure Profile) : 소비자용 또는 전문 헬스케어에서의 사용을 위해 협압센서 (Blood Pressure Sensor)와의 연결과 작동하도록 장치를 가능하게 합니다.

BLS (Blood Pressure Service) : 소비자용 또는 전문 헬스케어에서의 사용을 위해 협압 (Blood Pressure) 모니터로부터의 데이타 및 혈압을 제공합니다.

CTS (Current Time Service) : Generic Attribute Profile (GATT)를 사용하여 현재 시간을 어떻게 제공할 수 있는지 정의합니다.

DIS (Device Information Service) : 장치에 대한 제조회사 정보를 제공합니다.

FMP (Find Me Profile) : 하나의 장치에서 버튼을 눌렀을때 다른 장치에 알림 신호를 가게 하는 동작을 정의합니다.

HTP (Health Thermometer Profile) : 헬스케어 응용에서의 사용을 위해 수집 장치 (Collector Device)가 온도계 센서 (Thermometer Sensor)와 연결 및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HRP (Heart Rate Profile) : 헬스케어 응용에서의 사용을 위해 수집 장치 (Collector Device)가 심박 센서 (Heart Rate Sensor)와 연결 및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HRS (Heart Rate Service) : 피트니스에서의 사용을 위해 심박 센서 (Heart Rate Sensor)로부터의 데이타 및 심박 정보를 제공합니다.

HIDS (HID Service) : HID 보고서 (HID Report)를 제공하며, HID 호스트 (HID Host) HID 장치를 위한 다른 HID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HOGP (HID Over GATT Profile) : 저에너지 블루투스 무선 통신 (Bluetooth Low Energy Wireless Communications)을 가진 장치가 Generic Attribute Profile (GATT)을 사용하여 저에너지 블루투스 프로토콜 스택 (Bluetooth Low Energy Protocol Stack)을 통해 HID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을 정의합니다.

IAS (Immediate Alert Service) : 장치간에서 즉시 알림이 발생하도록 제어점 (Controll Point)를 제공합니다.

LLS (Link Loss Service) : 두 장치 사이에 링크가 손실된 경우 동작을 정의합니다.

NDCS (Next DST Change Service) : Generic Attribute Profile (GATT)을 사용하여 DST 변경에 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 방법을 정의합니다.

PASP (Phone Alert Status Profile) : PUID 장치에 연결된 전화기의 경보 상태 (Alert Status)에 대해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PUID 장치를 가능하게 합니다.

PASS (Phone Alert Status Service) : 연결때 전화 알림 상태 (Phone Alert Status)를 제공합니다.

PXP (Proximity Profile) : 두 장치 사이에 근접 모니터링 (Proximity Monitoring)을 할 수 있게 합니다.

RTUS (Reference Time Update Service) : Generic Attribute Profile (GATT)을 사용하여 클라이언트가 시간 서버 (Time Server)로부터 기준 시간 소스로부터 업데이트를 요청할 수 있는 방법을 정의합니다.

ScPP (Scan Parameters Profile) : 블루투스 저에너지 무선 통신 (Bluetooth Low Energy Wireless Communications)의 스캔 클라이언트 장치 (Scan Client Device)가 스캔 서버 (Scan Server)로의 스캔 동작을 쓰는 방법 및 스캔 서버 (Scan Server)가 스캔 클라이언트 스캔 동작 (Scan Client Scanning Behavior)의 업데이트를 요청할 수 있는 방법을 정의합니다.

ScPS (Scan Parameters Service) : GATT 서버 (GATT Server)가 전력 소비 (Power Consumption) /또는 재접속 지연 시간 (Reconnection Latency)을 최적화하는 동작을 조정하기 위해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GATT 서버 장치 (GATT Server Device)에서 사용되는 LE 매개 변수를 GATT 클라이언트 (GATT Client)가 저장할 수 있게 합니다.

TIP (Time Profile) : 장치가 날짜, 시간, 시간대 (Time Zone) DST 정보를 얻거나 시간 관련 기능을 제어 가능하게 합니다.

TPS (Tx Power Service) : 연결할때 장치의 현재 전송 전력 레벨을 제공합니다.

BR/EDR Profiles

A2DP (Advanced Audio Distribution Profile) : 스테레오 음질 수준의 오디오가 스트리밍될 수있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AVRCP (Audio/Video Remote Control Profile) : 텔레비전, 스테레오 오디오 장비 (Stereo Audio Equipment) 또는 다른 A/V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 (Standard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이 프로파일은 하나의 리모컨 (또는 다른 장치)로 사용자가 액세스할 수 있는 모든 A/V 기기를 제어 가능하게 합니다.

BIP (Basic Imaging Profile) : 이미징 장치 (Imaging Device)가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는 방법, 인쇄하는 방법 및 저장 장치에 영상을 전송할 수있는 방법을 정의합니다.

BPP (Basic Printing Profile) : 장치가 인쇄 작업에 따라 프린터에 텍스트, 이메일, V-카드, 이미지 또는 기타 정보를 보낼 수 있게 해줍니다.

DI (Device ID Profile) : 장치의 블루투스 클래스 (Bluetooth Class)를 넘어서거나 서비스 검색 프로필 (SDP) 레코드 및 응답 모두에 정보를 통합하기 위한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DUN (Dial-Up Network Profile) : 블루투스 기술을 통해 인터넷 및 다른 전화 서비스를 액세스할 수있는 기준을 제공합니다.

FTP (File Transfer Profile) : 서버 장치의 폴더 및 파일을 클라이언트 장치에 의해 탐색될 수 있는 방법을 정의합니다.

GAVDP (Generic Audio/Video Distribution Profile) :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여 비디오 및 오디오 스트림 (Audio Stream)을 배포하도록 설계된 시스템의 기반인 A2DP VDP를 위한 기초를 제공합니다.

GOEP (Generic Object Profile) : 하나의 장치에서 다른 장치로 객체를 전송하는데 사용됩니다.

HFP (Hands-Free Profile) : 게이트웨이 장치 (Gateway Device)가 핸즈프리 장치 (Hand-free Device)를 위해 전화를 송신하고 수신하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HCRP (Hard Copy Cable Replacement Profile) : 드라이버 기반의 인쇄 (Driver-based Printing) Bluetooth 무선 링크 (Bluetooth Wireleass Link)를 통해 수행되는 방법을 정의합니다.

HDP (Health Device Profile) : 헬스케어 및 피트니스 장치 사용 모델을 가능하게 합니다.

HSP (Headset Profile) : Bluetooth 지원 헤드셋 (Bluetooth Enabled Headset) Bluetooth 지원 장치와 통신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HID (Human Interface Device Profile) : 블루투스 키보드 (Bluetooth Keyboard), 마우스, 포인팅 (Pointing) 및 게임 장치 (Gaming Device) 그리고 원격 감시 장치 (Remote Monitoring Device)에 의해 사용되는 프로토콜, 절차 (Procedure) 및 기능을 정의합니다.

MAP (Message Access Profile) : 장치들간에 메시지를 교환하는 절차와 기능들을 정의합니다.

MPS (Multi Profile) : 복수 프로필 단일 장치 (Multiple Profiles Single Device) 및 복수 프로필 복수 장치 (Multiple Profiles Multiple Device)들간의 기능과 절차의 집합을 정의합니다.

OPP (Object Push Profile) : 푸시 서버 (Push Server) 및 푸시 클라이언트 (Push Client)의 역할을 정의합니다.

PBAP (Phone Book Access Profile) : 장치간의 전화 번호부 객체를 교환하기 위한 절차 및 프로토콜을 정의합니다.

PAN (Personal Area Networking Profile) : 두개 이상의 블루투스 지원 장치가 애드혹 네트워크 (Ad-Hoc Network)를 형성하는 방법과 동일한 메커니즘이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Network Access Point)를 통해 원격 네트워크 (Remote Network)에 액세스하는 방법을 기술합니다.

SAP (SIM Access Profile) : 블루투스 링크 (Bluetooth Link)를 통해 GSM SIM 카드, UICC 카드 또는 R-UIM 카드를 액세스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 및 절차를 정의합니다.

SDAP (Service Discovery Application Profile) : 응용 프로그램이 원격 장치에서의 서비스를 검색할 SDP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SPP (Serial Port Profile) : 가상 직렬 포트 (Virtual Serial Port)를 설정하고 두 개의 Bluetooth 지원 장치를 연결하는 방법을 정의합니다.

SYNC (Synchronization Profile) : 블루투스 가능 장치 (Bluetooth Enabled Device)간에서 캘린더와 주소 정보 (개인 정보 관리 (PIM) 항목)의 동기화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GOEP와 함께 사용됩니다.

VDP (Video Distribution Profile) : Bluetooth 지원 장치 (Bluetooth Enabled Device)가 블루투스 무선 기술 (Bluetooth Wireless Technology)을 통해 어떻게 비디오를 스트리밍하는지 정의합니다.

BR/EDR Protocols

AVCTP (Audio/Video Control Transport Protocol) : A/V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를 교환하는 전송 메카니즘 (Transport Mechanism)을 설명합니다.

AVDTP (Audio/Video Distribution Transport Protocol) : A/V 스트림 협상 (A/V Stream Negotiation), 설정 (Establishment) 및 전송 절차 (Transmission Procedure)를 정의합니다.

BNEP (Bluetooth Network Encapsulation Protocol) : IPv4 IPv6와 같이 블루투스 매체 (Bluetooth Media)를 통해 공통의 네트워킹 프로토콜 (Networking Protocol)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IrDA (IrDA Interoperability) : 블루투스 프로토콜 스택 (Bluetooth Protocol Stack)뿐만 아니라 IrDA 스택 (IrDA Stack)에서도 작동하도록 해주면서 IrDA 프로토콜 계층 구조 (IrDA Protocol Hierarchy)내에서 응용 프로그램에 대해 동일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OBEX (Object Exchange) : 데이타 객체 (Data Object)를 정의하는 전송 프로토콜 (Transfer Protocol)이며 두개의 장치가 객체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 (Communication Protocol)입니다.

RFCOMM (RFCOMM with TS 07.10) : RS-232 직렬 포트 (Serial Port)의 상태와 직렬 케이블 라인 설정 (Serial Cable Line Setting)을 에뮬레이트 (Emulate)하고, 직렬 데이타 전송 (Serial Data Transfer)을 위해 사용됩니다.

2016년 8월 22일 월요일

블루투스 버젼별 특장점 요약

블루투스(Bluetooth) 1994년 에릭슨 (Ericsson)이 최초로 개발한 IEEE 802.15.1 규격을 사용하는 개인 근거리 무선 통신 (PAN : Personal Area Networks)의 산업 표준입니다.

블루투스는 ISM 대역인 2.45GHz를 사용합니다.

아래는 Bluetooth Version별 속도 또는 특징을 요약한 내용입니다.

Ver 1.1 1.2
   - 전송 속도는 723.1kbps.

Ver 2.0
   - EDR (Enhanced Data Rate)을 사용하여 2.1Mbps의 속도를 내고 있음.
   - EDR 미표시시에는 723.1Kbps 속도를 가짐.

Ver 2.0+EDR
   - 이론상 3.0Mbit/s의 향상된 데이터 속도 (Enhanced Data Rate, EDR)를 지원
   - 실제는 2.1Mbit/s의 속도를 냅니다 (기기간 호환성 부족).

Ver 2.1+EDR
   - Bluetooth Ver 1.2 버전과 완벽하게 호환 구현.

Ver 3.0+HS
   - 802.11 PAL (Protocol Adaptation Layer)를 채용해서 속도를 최대 24Mbps로 향상
   - HS 고속통신은 Bluetooth 망이 아닌 Bluetooth Data를 전송할 기기를 확인한후 더 빠른 속도의 802.11 (WiFi)로 대신 접속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Ver 4.0
   - 클래식 BT (Classic Bluetooth) 1.0부터 2.1로 이어져온 기존 BT 기술 지원
   - 고속 BT (Bluetooth High Speed) 3.0에서 추가된 WiFi를 활용한 HS 고속전송 기술 지원
   - 블루투스 저전력 (Bluetooth Low Energy, 약어: BLE) 기술을 지원하는데 전력소모를 최소화하고 배터리 수명을 연장하는데 중점을 둡니다.

2016년 8월 21일 일요일

2가지 분류의 블루투스(Bluetooth) 기기 구현

블루투스의 가장 일반적인 2가지 기기 구현방법은 'Bluetooth Basic Rate/Enhanced Data Rate (BR/EDR)' 'Bluetooth with low energy (LE)'입니다.

'Bluetooth Basic Rate/Enhanced Data Rate (BR/EDR)'는 블루투스 규격 2.0/2.1에 기반하고 있으며, 'Bluetooth with low energy (LE)'는 블루투스 규격 4.0/4.1/4.2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이들 구현방법은 다른 유저케이스를 가지며, 필수적인 하드웨어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해 각각 다른 칩셋을 사용합니다. 양쪽 유저케이스를 포함하는 응용을 위해서 듀얼모드 칩셋도 가능합니다.

차이점은 무엇인가?

Bluetooth BR/EDR

스트리밍 오디오와 같은 유저케이스에 적합한 구현방법으로 상대적으로 짧은 커버리지와 연속적인 무선 연결을 지원합니다.

Bluetooth LE

보다 긴 커버리지를 지원하며, 연속적인 무선 연결을 필요치 않지만 짧은 시간동안의 디지털 데이타 전송을 하는 사물인터넷 (IoT : Internet of Things)에 적합합니다. 그리고 장시간 사용을 위해서는 긴 배터리 수명을 필요로 합니다.

Dual-Mode

듀얼모드 칩셋(Dual-mode chipset)도 가능한데, 오디오 헤드셋과 같은 BR/EDR 기기와 웨어러블(Wearable) 또는 비컨(Beacon)과 같은 LE 기기 모두와 연결이 필요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을 위해 필요합니다.

2016년 8월 20일 토요일

블루투스 스택구조 (Bluetooth Stack Architecture)


Physical (PHY) Layer

블루투스 통신 채널 (Bluetooth Communication Channel)을 통해 2.4HGz 전파를 송수신 제어를 합니다. BR/EDR은 좁은 밴드폭으로 많은 채널을 제공하는 반면 LE는 좀더 넓은 밴드폭을 지원하지만 채널수는 좀 적습니다.

Link Layer

패킷 구조/채널 (Packet Structure/Channel), 접속 절차 (Connection Procedure) 및 데이타 송수신을 정의합니다.

Direct Test Mode

2-wire UART 인터페이스 (Interface) 또는 HCI를 통한 명령을 통해 패킷 (Packet)의 송수신하도록 PHY 레이어 (Layer)를 제어합니다.

Host to Controller Interface (HCI)

블루투스 호스트 (Bluetooth Host)와 블루투스 콘트롤러 서브시스템 (Bluetooth Controller Subsystem) (하위 3개 레이터) 사이의 표준 인터페이스입니다.

Logical Link Control and Adaptation Protocol (L2CAP) Layer

HCI로 또는 호스트리스 시스템 (Hostless System)에서 링크 매니저 (Link Manager)로 패킷을 전송하는 패킷 기반 프로토콜 (Protocol)입니다. 상위 레벨 프로토콜 멀티플렉싱 (Protocol Multiplexing), 패킷 나누기 (Segmentation) 및 합치기 (Reassembly), 상위 레이어로의 QoS (Quality of Service) 정보 전송을 지원한다.

Attribute Protocol (ATT)

일단 연결이 설정된후 데이타 교환을 위한 클라이언트 (Client) 및 서버 (Server) 프로토콜을 정의합니다. 속성들은 Generic Attribute Profile (GATT)을 사용하여 의미있는 서비스로 함께 그룹화 됩니다. ATT LE에 사용되면 가끔씩 BR/EDR에도 사용됩니다.

Security Manager

블루투스 기기간의 페어링 인테그리티 (Pairing Integrity), 인증 (Authentication) 및 암호화 (Encryption)을 관리하는 프로토콜과 특성을 정의하며, 다양한 응용에 필요한 보안 레벨을 지원하는 보안 기능을 제공합니다.

Generic Attribute Profile (GATT)

Attribute Protocol을 사용하여, 장치의 동작을 캡슐화하고 (Encapsulate)하고 GATT 기능에 기초하여 사용 사례, 역할 및 일반적인 동작에 대해 설명하는 GATT 그룹 서비스입니다. 서비스 프레임워크는 서비스 형식과 절차, 특성을 정의합니다 (발견 (Discovery), 읽기, 쓰기, 통지 (Notification), 방송 (Broadcast) 특성의 구성). GATT은 블루투스 LE 구현에 사용된다.

Generic Access Profile (GAP)

블루투스 LE 구현에 GATT와 연동하여 블루투스 장치와의 정보 공유 및 블루투스 장치에 연결하는 링크 관리 (Link Management) 측면의 발견 (Discovery)과 관련된 절차 (Procedure) 및 역할을 정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