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HTML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HTML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6년 8월 15일 월요일

HTTP vs HTTPS 간략한 비교표

일반적으로 인터넷에서 많이 사용되는 HTTP 프로토콜과 보안이 강화된 HTTPS를 간략히 비교한 표입니다.

HTTP
HTTPS
HyperText Transfer Protocol
▲ Hypertext Transfer Protocol over Secure Socket Layer
WWW 상에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
▲ WWW 통신 프로토콜인 HTTP의 보안이 강화된 버전
▲ 주로 HTML 문서를 주고 받는 데에 사용
통신의 인증과 암호화를 위해 Netscape Communications Coporation이 개발했으며, 전자 상거래에서 널리 사용
TCP를 사용
소켓 통신에서 일반 텍스트를 이용하는 대신에, SSL이나 TLS 프로토콜을 통해 세션 데이터를 암호화
▲ 기본 포트는 80
기본 포트는 443
▲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이루어지는 요청/응답(request/response) 프로토콜
▲ 클라이언트인 웹 브라우저가 HTTP를 통하여 서버로부터 웹페이지나 그림 정보를 요청하면, 서버는 이 요청에 응답하여 필요한 정보를 해당 사용자에게 전달
▲ 보호의 수준은 웹 브라우저에서의 구현 정확도와 서버 소프트웨어, 지원하는 암호화 알고리즘에 달림
HTTP를 통해 전달되는 자료는 http:로 시작하는 URL로 조회
▲ HTTPS를 사용하는 웹페이지의 URL 'http://'대신 'https://'로 시작

상세한 기술 문서는 아래와 같다.

IEFT HTTP/1.1 기술 명세서 (1999 6) : http://tools.ietf.org/html/rfc2616
HTTP over TLS(RFC 2818)에 대한 기술 명세서 : http://www.ietf.org/rfc/rfc2818.txt

2016년 8월 14일 일요일

MHT 포맷이란?

보통 브라우저의 페이지를 저장하면 HTML 파일로 저장되는데 그 페이지에 있는 그림 등과 같은 리소스들은 별도의 폴더에 저장되는데, 이를 하나의 파일로 저장되게 보완된 것이 MHT라는 파일 양식입니다.

MHT 파일 형태는 MHTML로 저장되는 파일 양식인데, MHTML MIME HTML을 위한 표준 규격입니다.

MHTML RFC 2557 문서에 기반하여 자원들을 HTML 코드로 작성된 파일에 포함시키는데, 이런 이미지같은 리소스는 인터넷 표준인 MIME 형태로 인코딩됩니다. 이런 MHTML 형식의 파일은 Microsoft Word, Internet Explorer, Opera Web Browser에서 .mht 확장자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물론 Outlook에서도 메일을 .mht 형태로 저장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이렇게 저장되면 이전에 이미지들이 별도의 폴더에 저장되어 따로 보관하려면 그 폴더도 같이 보관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했는데, 하나의 .mht 파일로 저장하면 그 파일만 보관하면 되기 때문에 편리합니다.

그러나, 아직도 모든 웹 브라우저를 아우르는 표준안이 마련되지 않았기 때문에, MHTML 형식으로 저장된 문서들은 웹 브라우저마다 다르게 보일 수는 있습니다.
현재 모질라 파이어폭스는 MHTML 형식을 읽거나 저장하기 위해서는 확장 기능을 설치해야 한다고 되어 있군요.

초기 인터넷은 ASCII 7 비트 문자를 이용하는 것이 기본이었기 때문에 이미지와 같이 8비트를 모두 사용하는 리소스를 전송할 수가 없었는데, 이를 위해 제정된 표준이 MIME (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으로 8비트 이상의 코드를 사용하는 문자나 이진 파일들은 MIME 포맷으로 변환되어 SMTP로 전송됩니다.

실질적으로 SMTP로 전송되는 대부분의 전자 우편은 MIME 형식으로 보내지고 있으며, MIME 표준에 정의된 Content Type들은 HTTP와 같은 통신 프로토콜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